한글.한국 완벽한 한글 도메인 세상이 열린다.
2011년 부터는 한글.한국 도메인이 등장,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누구라도 한글만으로 구성된 도메인을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한국뿐 아니라 중국인들은 중국어로만 구성된 도메인을, 러시아인은 러시아어로만 구성된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니 재미있죠?
생각해보면 그 동안 우리는 세계 공용어가 English 라는 것을 너무나 당연하게 받아들인 것은 아닌가 합니다. 지구, 전세계를 하나로 묶어주는 인터넷 환경의 기본이 되는 도메인이 오직 영어와 숫자만 사용할 수 있었으니까요.
다국어 도메인은 비 영어권 국가의 인터넷 사용자들의 접근성을 고려해 도입이 논의 되었다고 합니다. 중국의 위상이 점점 커진 이유도 있겠죠? 그래서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2011년 초, 중반 사용될 예정인 .한글 도메인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지난 2월 16일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는 .한글 도메인 등록과 관련해 공청회가 있었습니다. KISA의 공식 등록대행자와 관심있는 개인들이 모여 .한글 도메인의 사용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었는데요, 여러분이 관심 가질 만한 등록기준과 등록 일정에 대해서 먼저 알려드리겠습니다.
한국 국가 도메인은 기존의 도메인처럼 문자와 숫자, 하이픈 사용이 가능하지만, 무조건 한글은 1자 이상은 포함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쯤 되면 우리 회사 이름은 영어인데 소리나는대로 사용해야하나? 라는 의문이 드실 수 있습니다. 에스디에스.한글 이라는 도메인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하는거죠. 그래서 영문을 그대로 옮긴 이런 도메인에 대한 등록은 유보 상태라고 합니다.
<.한국 국가 도메인 등록기준>
- .한국 도메인은 ‘한글.한국’의 2단계 체제
- 한글을 1자 이상 포함.
- 길이가 1~17자 이어야 함.
- 시작과 끝에 하이픈이 없어야 함
- 유니코드 한글 11,172자 / 영문 알파벳 / 숫자 / 하이픈(-) 사용가능
공청회에 참석한 후 개인적인 생각을 간단하게 말씀드린다면 중, 소 사업자들의 경우는 .한글 도메인을 홍보의 기회로 잘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를 들면 '삼청동커피.한국' 과 관은 도메인으로 삼청동의 커피숍으로 연결될 수 있는 홈페이지가 있다면
"주소창에서 바로 '삼청동커피.한국'을 쳐보세요."
와 같이 홍보용으로 사용하기 좋을 것 같거든요. 물론 .한글 도메인이 대국민적으로 충분히 홍보가 되어야 한다는 전제가 있어야겠지만 말입니다.
.한국 도메인 등록은 언제부터?
.한국 도메인은 2011년 5월 말에는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등록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초기 접수 기간에는 정부, 공공기관에서 먼저 등록을 하고, 그 후에는 법률적으로 인정되는 상표권자가 우선 접수 하게 됩니다. 이 후에는 추첨을 통해 등록되고 그 후 일반사용자들은 기존의 도메인을 접수하는 것처럼 다이렉트와 같은 등록대행자를 통해 등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단어를 다 사용할 수 있나요?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새로운 서비스를 진행하면서 정책적인 부분에서는 고려해야 할 것이 많죠. 예를 들면 정부나 공공기관이 먼저 등록을 하는 것도 정부나 공공기관의 도메인을 사칭해 악용되는 일을 막기 위함이죠. 또 비속어나 행정구역이나 지역명, 국가명, 비윤리적인 단어 등에 대해서는 등록이 유보됩니다.
어쨌든, 그 밖에 몇 가지 궁금해 하실 것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Q1) 한글. Kr을 사용하는 고객은 우선권이 있나요?
A1) 한글.kr 도메인과는 다른 것으로 취급됩니다. 즉, 다이렉트.kr 도메인을 갖고 있다고 해서 다이렉트.한국 도메인을 선점할 수는 없습니다.
Q2) 모든 브라우저에서는 사용이 가능한가요?
A2) IE 6.0이하 버전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어쨌든 .한국 도메인이라는 새로운 변화를 미리 감지하시고 필요하다면 여러분의 서비스에 도움이 될 수있도록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