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비교적 먼 거리의 출장을 다녀왔습니다.
처음 가본 곳이라 개인적으로 기록을 남기고 싶어 손바닥만한 캠코더를 하나 들고 다녀왔는데,
(
저는 사진보다는 동영상을 찍는 것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비록 서투른 촬영 솜씨 때문에 찍어온 영상이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영상을 보고 있노라면
그 당시의 느낌을 생생하게 기억할 수 있어 촬영하기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날의 영상 압축기술은 위와 같이 별도의 큰 저장공간 없이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영상을
촬영하고 보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냈습니다.

특히 TV 등의 방송매체에서는 HDTV와 같은 보다 고품질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해지면서 이러한 영상들을 각종 통신매체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자유롭게 동영상 컨텐츠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환경이 구성되었습니다.

디지털 비디오 압축 표준 혹은 포맷으로 잘 알려져 있는 MPEG은 애플의 Quick Time(*.mov), MS Video for Windows(*.avi) 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영상 압축 포맷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동영상 압축과 코드 표현을 통해 정보의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현재 MPEG 기술은 MPEG-1, MPEG-2, MPEG-4, MPEG-7, MPEG-21가 발표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mp3라고 부르는 것은 이 중 MPEG-1 표준의 3번째 오디오 레이어를 의미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PEG-1, 2, 4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MPEG-1

1991
년 규격화된 압축기술로 일반 VCR 보다 영상의 질이 다소 낮다고 보시면 됩니다


해상도 352x240 픽셀, 초당 30프레임까지 지원까지 지원되며, 이 규격의 상품으로는 비디오CD
떠올리면 될 것 같습니다. *.mpg 라는 확장자를 가지며 별도의 mpeg보드가 설치된 컴퓨터에서만
재생이 가능했습니다.


MPEG-2:

1994
년 규격화된 압축기술로 높은 화질 및 음질을 필요로 하는 분야를 위해 개선된 압축기술입니다.
현재 DVD의 동영상 포맷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HDTV를 포함한 고화질 TV 방송용, 스카이라이프와
같은 위성방송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해상도 720x480 / 1280x720 픽셀, 초당 60프레임까지 지원합니다.


MPEG-4:

1998
년에 완성된 영상압축기술로 멀티미디어 통신을 전제로 스트리밍을 위한 규격이라고 보면 좋습니다. 기존의 MPEG-1, 2에 추가로 Quick Time 기술을 더하여 만들어진 동영상 압축 포맷입니다. 화질은 조금 떨어지지만 용량이 적어 상대적으로 장시간 촬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해상도는 4096x4096까지 확장이 가능하고, 전송속도 역시 5Kbps 에서 10Mbps까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알파 채널’을 지원하기 때문에 날씨 뉴스에서 기상캐스터 뒤로 날씨 지도를 삽입하는 것과 같이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합성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방송 및 화면 안에 사용자가 마우스를 클릭할 수 있는 기능까지 갖출 수 있으며, 다중 플랫폼을 지원하기 때문에 인터넷, 무선 타블렛, 휴대폰, PDA와 같은 여러 종류의 기기에 컨텐츠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비디오, 오디오, 스트리밍, 텍스트, 이미지 등 모든 종류의 미디어 파일을 다룰 수 있으며, 플래시, VRML, 쇼크웨이브, 디지털 비디오를 하나의 포맷안에 합성할 수 있는 기능도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MPEG-4
는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에서 방송, 영화, 교육, 화상회의 등의 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다이렉트 블로그
http://blog.direct.co.kr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