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편에 이어서...

사용자 삽입 이미지
Pixtronix라고 불리는 또 다른 마이크로 전기 기계 디스플레이가
출시를 앞두고 있습니다.

그 PerfectLight기술은 둘러싼 빛을 반사시키는 것 대신에
빨강, 파랑, 녹색으로 된 진공관으로 된 백라이트로부터 빛을
통과시키는 방식이며 이를 위해 빠르게 열고 닫히는
작은 셔터들을 사용합니다.

사실 LCD 디스플레이 기기 또한 셔터를 사용하며,
빛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기 위한 분극화의 변경이 용이한
액체 크리스털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액체 크리스털 셔터는 통과된 빛의 90% 이상을
흡수한다는 것이며 이는 심지어 셔터가 열려있을 때에도
마찬가지라는 것입니다.

PerfectLight 기술은 빛의 60%만큼만 허용됩니다.
그리고 셔터는 비디오 재생이 가능할 정도로 빠르게 교체됩니다.
(1초에 1,000회 이상)

Qualcomm과 Pixtronix가 움직임이 가능한 작은 픽셀에 관한
기술을 개발하는 데 분주하게 보내고 있는 동안,



Philips는 Liquavista라는 회사를 통해 보다 간편하고 단순하게 진보한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Liquavista 디스플레이는 절연 처리한 레이어, 전극, 물, 색상이 첨가된 오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레이어들은 유리 혹은 플라스틱으로 된 2개의 시트 사이에 있습니다.

 전압 공급이 없을 때, 오일은 한 켠의 200 미크론 픽셀의 위쪽으로 퍼지게 됩니다.
이는 절연 처리한 레이어가 소수성이라 물이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을 밀어냄으로써 오일이 퍼질 수 있을 만한 공간이 생성됩니다. 하지만 전압이 공급되면 절연 처리한
레이어가 밀어내는 것 대신 물을 끌어들입니다. (이 기술을 electrowetting 이라고 합니다.)
이는 색상이 첨가된 오일을 짜내어 보이지 않는 픽셀의 한 코너의 작은 방울 속에 집어넣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오일은 3milisecond 안에 방울로 되고 파워가 꺼질 때 퍼지는 데는 9milisecond까지 걸립니다.
하지만 이는 비디오를 구현 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른 것입니다.

최근에 6인치 디스플레이는 흑백에서 생생한 질을 보여줍니다.
컬러 스크린의 프로토타입 역시 크게 뛰어난 차이를 보이지는 않지만 꽤 괜찮은 수준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잉크와 mirasol 디스플레이와 같이 electrowetting 디스플레이는 단순하게 오일 아래 레이어 속에

위치한 거울을 통해 환경광을 반사합니다. 하지만 이 레이어는 투명하게 만들어져 있어 역광을 만들 수도
있고 어둠 속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특별한 타입의 반사기기를 사용하게 되면 역광을 통과시키거나 환경광을 반사시킬 수 도 있어 electrowetting 디스플레이는 이 2가지 측면에 있어 최고의 기술이 될 수 있습니다.


크리스털 공 자세히 보기


이제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여부를 확인해볼까요?
독립적으로 개발된 디스플레이 기술의 역사를 보면 단지 소수만이 대량 생산으로 이어져왔습니다.
그래서 비록 많은 새로운 기술들이 다음 세대의 e리더기를 위해 준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은 LCD의 변종을 통해 최소한 가까운 미래에 E잉크를 대체할 수 있도록 최적으로 포지션 되었음에
틀림이 없습니다.

엔지니어들은 시장에 수요가 있는 한 계속해서 LCD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그런 디스플레이 기기들은 몇 년 전보다 넓은 시야의 앵글을 가지고 있습니다.
테니스 서브와 같이 고속 모션이 더 이상 어색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큰 LCD 패널은 훨씬 얇아지고 전기 효율이 훨씬 좋아졌습니다.

이미 LCD를 기반으로 한 e리더기가 시장에 나왔습니다.
후지쯔의 콜레스테롤 LCD로 불리는 FLEPia는 반사되는 빛으로부터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그 크리스털은 2가지 안정 상태를 가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기의 공급 없이 반사 혹은 반사하지 않는 상태를 모두 유지할 수 있습니다.
콜레스테롤 LCD는 역광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쉽게 표현하기 위해
보통의 LCD의 많은 레이어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콜레스테롤 디스플레이를 만들기 위한 생산 공정과 재료가 달라 표준의 LCD보다
더욱 비싼 경향이 있습닌다. (이런 이유로 FLEPia의 가격은 약 $1,000가량이나 됩니다.)

게다가 컬러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위치를 누른 후 하나의 이미지에서 다른 이미지로
넘어갈 때까지 2초가 걸리며 비디오는 말할 것도 없고, 책을 읽기에도 고통스러울 정도로 느립니다.

신생업체인, 픽셀 Qi는 표준 생산방식과 재료의 제약 안에서 LCD 기술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이 회사의 창설자이자 One Laptop Per Child 프로젝트의 전 기술이사인
Mary Lou Jepsen 은 다가오고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들의 상황이 전세계로 퍼져나간 수많은 저가 노트북이
겪은 것들과 매우 유사하다고 했습니다.

여기에는 2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하나는 역광을 사용하고 낮고 높은 대비의 색상이 필요할 때
표준 LCD와 동일하게 가려고 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역광이 꺼졌을 때 단색 모드가 된다는 점입니다.
이 두 번째 모드는 읽기와 역광 안에서 비디오를 볼 때 적절한 모드이고 8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픽셀 Qi는 이 듀얼 모드를 지원하기 위해 표준 LCD의 모든 레이어를 다시 디자인 해야 했습니다.
역광과 액체 크리스털 셔터 사이의 표준 투명 레이어는 아래의 작은 구멍을 통해 나오는 빛이 통과하는 동안
위쪽에서 오는 환경광을 반사하기 위해 특수한 알루미늄 레이어에 의해 재 배치되었습니다.
액체 크리스털 레이어는 양방향 모두를 통해 빛이 통과 가능하도록 재 디자인 되었습니다.

이 디자인은 독서를 위한 낮은 전력의 단색 모드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 시 역광 컬러 모드로
변환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픽셀 Qi는 2009년까지 이 기술을 이용하여 넷북 및 e리더기 시장을
타겟으로 한 10인치 디스플레이 기기를 대량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픽셀 Qi는 LCD 산업에 빠르게 진출하여 산업의 초점을 e북 사용자들에게 적합한 새로운 상품을
개발하는 것으로 전환할 수 있었습니다.

이리하여 비디오가 가능한 저렴한 컬러 e리더기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출처) 이코노미스트: Read all about it.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

상편- E-리더기 사용자들을 위한 새로운 디스플레이 도구

디스플레이 기술: 이제 전자책 사용자들은 이제 배터리시간과 색상 중에서 선택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모두를 만족할 수는 없을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마존의 킨들과 같은 전자책을 기기를 통해 실제로 읽을 수 있게 하는 e리더기에 대한
갑작스런 인기는 2009년 최고의 이슈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2009년에 일어난 것과 같은 전세계적인 경기 침체는 때때로 오랜 기간 동안 정말 필요로 했거나
소비자의 기호에 정확하게 맞춘 새로운 제품을 내놓기 위한 좋은 타이밍이 되기도 합니다.

iPod이 미국이 엄청난 경기침체에 빠졌던 2001년에 출시된 것과 같이,
최근에는 e리더기가 이와 비슷한 성공 스토리를 써나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 날의 e리더기는 그 시절 만들어진 최초의 iPod과 같이 기술적으로 굉장히 단순한 도구 입니다.
e리더기는 텍스트와 흑백의 그림만을 표현할 수 있는 단색의 스크린을 가졌으며 비디오를 재생할 수도 없습니다.

마케팅 리서치 기관인 iSuppli에 따르면, 위와 같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2009년 한 해 동안 약 500만개의
e리더기가 판매되었을 뿐만 아니라, 2010년에는 1200만개가 판매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습니다.

현재 가장 인기 있는 모델인 킨들 뿐만 아니라 많은 종류의 e리더기가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지난 몇 년간 Sony는 한 가지 종류의 e리더기를 제공해왔으며 최근에는 여러 종류의 새로운 모델을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서점으로 유명한 Barnes & Noble 은 10월에 Nook 라는 독자적인 리더기를 발표하였습니다.
Plastic Logic은 1월 매년 Las Vegas 에서 열리는 Consumer Electronics Show 에서 이 분야에의
신상품에 해당하는 QUEproReader를 발표했습니다.

노트북 및 플랫패널 디스플레이 기기 메이커들을 포함한 다른 업체들 역시 이 시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었습니다. 2010년 1월, 애플은 타블렛기기 아이패드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전체 e리더기의 90% 이상이 1997년 MIT로부터 설립된 E잉크라는 회사의 이 회사명과 동일한 이름을

사용하는 E잉크라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E잉크는 깨끗한 액체 안에 Positive하게 충전된 흰색입자와 Negative하게 충전된 검은색입자들을
작은 캡슐에 가두는 형식의 기술입니다.

마이크로 캡슐로 이루어진 레이어의 위 아래에 있는 투명한 전극이 각자의 극성에 따라 검은색입자
혹은 흰색입자를 표면에 밀어냄으로써 전기적 필드를 만들어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Sony의 디지털 Reading 부서의 이사, Steve Haber는 이 “electrophoretic” 기술은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다. 고 말했습니다. 역광이 필요 없어 눈에 편하며 태양의 반사광에도 글자를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우 적은 배터리 용량을 필요로 합니다. (일단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는 전기 공급이 끊기더라도 그대로
남아있으며 전기은 단지 화면을 변경할 때만 필요로 합니다.)
그러나 E잉크는 아직 개선의 여지가 많이 남아있습니다. 읽는 사람이 페이지를 전환하고자 할 때,
화면이 변하기까지 상대적으로 느리고, 휴대폰이나 노트북에 사용되는 LCD와는 다르게 컬러 이미지나 비디오를
 재생할 수도 없습니다.

하지만 LCD는 훨씬 많은 배터리 용량을 필요로 하고 장시간 읽기에는 눈에 피로를 많이 줍니다.
다른 기술인 OLED가 이 부분에 있어 전망이 있어 보이지만 가격이 훨씬 비싸 스케일을 높이기가 어렵습니다.

Haber는 이상적인 e리더기는 훌륭한 배터리시간을 가지고, 종이 같이 읽을 수 있으며, 풀 컬러에 비디오를 지원할 수 있을 정도로 반응 속도가 빨라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런 기술은 현재, 시장에는 이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몇몇 업체는 LCD기술을 기반으로 한 e리더기를 내놓고 있습니다. 애플의 제품은 LCD를 사용한 것이며 노트북 메이커인 Asus는 LCD를 기반으로 한 e리더기를 개발해왔습니다. Nook는 기발하게 이 차이를 구별한 제품을 내놓았습니다. 텍스트를 표시할 때는 E잉크를 사용하고, 네비게이션을 위해 에너지 절약이 필요할 때 자유롭게 스위치를 끌 수 있는 작은 사이즈의 LCD 터치스크린을 아래쪽에 배치하였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잉크와 SiPix, Bridgestone과 같은 라이벌들은 컬러 전기 유동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흑백 캡슐 위에 컬러 필터로 된 레이어를 추가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어 색상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습니다.

 필터 제작에 있어 어려운 점은, 이를 컨트롤 하기 위한 시스템의 소형화. 캡슐에 의한 반사광을 줄임으로써
이미지가 보여질 때 흐릿하게 보이지 않게 하는 부분입니다.

 E잉크의 부사장인 Sri Peruvemba 는 2010년 안에 이러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비디오 쪽에 문제가 남아있습니다. 현재 킨들에서는 페이지를 바꾸는데 약간의 시간이 걸리고 있으며
비디오를 표현하기 위한 E잉크는 이론적으로 가능하나 디스플레이를 위한 화학적인 부분에 있어 총체적인
변경이 필요할 것이다. 라고 말했습니다.

결국 전기 유동 디스플레이기가 비디오 표현이 가능하게 될 때까지는 몇 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여러 가지 새롭게 부각되는 기술들은 전기 유동 기술분야에 진출함으로써 이를 점유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습니다.

휴대폰 무선 칩 생산업체인 Qualcomm은 e리더기에 가장 이상적인 mirasol이라고 불리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mirasol 디스플레이는 E잉크 디스플레이와 같이 환경광을 사용하지만 이것은 액체로 된 캡슐
대신에 2개의 막으로 된 거울 사이에 작은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빛이 아래 쪽 거울에 반사되고 나면, 다음에는 위쪽 거울의 아래 부분에 반사됩니다.

빛이 앞뒤로 반사되는 것과 같이, 다른 것들이 소거될 동안 거울 사이의 적당한 공간에서 빛의 특정한 색상을
더욱 확장하고 구체화 해나갑니다.

거울 아래의 작은 전기기계적인 스위치는 그 것들을 위로 들어올리고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도록 조절하고
다른 빛이 반사되는 것으로부터 예방해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거울들의 움푹한 구멍들은 빨강, 파랑 그리고 녹색의 3가지 빛으로 그룹화되어 디스플레이 상의 점 혹은
픽셀로 표현됩니다. 구멍 아래 쪽의 거울들을 조절함으로써 이 픽셀들은 각기 다른 색상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거울들은 다양한 색상을 만들고 비디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르게 교체됩니다.
이 기술은 이미 휴대폰 및 위성 네비게이션의 작은 스크린에서도 가능한 수준에 올라 있습니다.
이 디스플레이 기기는 정지된 영상에서 1밀리와트, 비디오를 표현하는 데 30밀리와트만을 소모할 정도로
적은 전기를 사용합니다.

동등한 사이즈의 LCD와 비교한다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따라 240~700 밀리와트의 전기가 사용됩니다. Qualcomm의 Jim Cathey는 mirasol을 기반으로 한 e리더 스크린이 2010년 안에 생산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e리더기의 모든 것을 읽어보자 (하)에서 계속...

(출처) 이코노미스트: Read all about it.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